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케이팝 뿐만 아니라 케이컬처까지 전 세계에 알리고 있는 사실을 아시나요? 아이돌 세계관에 한국 전통 문화와 미학을 녹여내 글로벌 관객을 사로잡은 작품인데요. 한국의 문화가 어떻게 녹여 들어 있는지 같이 하나씩 알아볼까요?
1. 애니메이션? 아니, 한국문화의 재발견
OST 〈Golden〉으로 먼저 이름을 알린 케이팝 데몬 헌터스. 아이들 애니메이션인 줄 알았다가, 국립중앙박물관 방문객까지 폭발적으로 늘린 영향력을 보고 뒤늦게 관심을 갖게 된 분들 많을 거예요.
저도 아이돌 팬 한 명을 둔 덕에 뒤늦게 보게 되었는데요. 이야기는 K-POP 팬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내용이면서, 곳곳에 한국 전통문화 요소가 촘촘히 들어 있어 놀랐습니다. 더 흥미로운 건 제작사가 한국이 아닌 미국이라는 사실! 외국인들이 이렇게 섬세하게 한국의 미와 감각을 잡아낸 점이 인상적이었어요.
2. 무대와 의상 속 전통의 흔적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
헌트릭스가 〈Golden〉을 부를 때 배경으로 등장한 그림은 바로 일월오봉도. 조선시대 왕의 의자 뒤 병풍으로 사용되던 그림으로, 왕의 권위와 나라의 안정을 상징합니다. 해와 달은 임금과 왕비, 다섯 봉우리는 동서남북 중앙을 의미하죠. 노래 가사와도 절묘하게 어울립니다.
가채, 부와 신분의 상징
리더 루미의 풍성하게 땋아 내린 머리는 가채에서 온 스타일. 조선시대 기혼 여성과 양반가 부녀자가 썼던 인조 머리 장식으로, 클수록 집안의 권세를 의미했죠. 하지만 사치와 건강 문제로 금지령이 내려지기도 했습니다. 루미에게만 가채 헤어를 적용한 건, 그녀의 리더십과 상징성을 드러내려는 의도일 겁니다.
3. 의복이 전하는 메시지
갓과 두루마리, 선비의 멋
사자보이즈의 블랙&화이트 패션 — 하얀 두루마리와 검은 갓은 단순히 멋을 넘어서 한국을 대표하는 선비 정신을 담고 있습니다. 바람에 흩날리는 두루마리 자락, 심플하면서도 세련된 갓의 선은 ‘Simple is Best’라는 패션 공식을 그대로 보여주죠.
특히 갓은 넷플릭스 킹덤을 통해 해외에서도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습니다. 지금은 박물관 굿즈조차 품절될 정도로 사랑받고 있답니다.
4. 상상의 동물과 길조의 새
해태, 귀여움으로 재해석된 수호신
호랑이와 비슷하지만 악귀를 막는 상상의 동물 해태. 궁궐 앞에 석상을 세울 정도로 권위를 지닌 존재인데요, 영화에서는 디즈니·픽사의 캐릭터처럼 털결 하나까지 정성스럽게 그려내 귀여운 매력으로 재탄생했습니다.
까치, 길조의 전령
까치는 예로부터 좋은 소식을 전하는 새로 여겨졌습니다. 조선시대 민화에서 호랑이와 함께 등장하며 경사스러움을 알렸죠. 영화 속에서도 루미와 진우 사이의 ‘통신병’ 역할을 하며 전통적 상징을 현대적으로 풀어냈습니다.
마무리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단순히 ‘예쁘다, 신비하다’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한국 궁중문화, 의복, 상징 동물 등 깊이 있는 전통 요소를 현대적으로 풀어내며 전 세계 관객을 사로잡았죠.
K-컬처가 세계 속에서 사랑받는 이 시점, 작품 속 상징과 기원을 알고 본다면 훨씬 풍성하게 즐길 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