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50세, 퇴사 후 국민연금 안 넣고 있다면? 지금 임의가입해야 할 이유

by 숲속의여사님 2025. 7. 11.

퇴사해서 백수가 되고 나니, 다달이 내 월급에서 자동으로 나가던 4대보험이 사라졌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뒤에 2개는 백수에겐 필요 없고, 앞에 두 개가 문제인데, 건강보험이야 남편 밑으로 자동으로 들어가니 신경 껐다. 

문제는 국민연금. 

지금까지 20년 넘게 납입했기에 앞으로 때가 되면 연금이 나올텐데, 문제는 지금이라도 임의 가입하는 것인 유리한지 궁금했다. 

그래서 정리해 본다. 

 

국민연금 20년을 채우셨다면 이미 연금 수급 자격은 확보하신 상태예요. 하지만 지금부터 60세까지 임의가입을 하면 연금 수령액을 더 늘릴 수 있어요. 언제, 어떻게, 왜 가입해야 하는지 정리해드릴게요.

 


✅ 국민연금 임의가입이란?

  •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이 스스로 신청해서 납부하는 제도예요.
  • 직장에 다니지 않더라도 본인이 원하면 자유롭게 가입 가능합니다.
  • 60세까지 계속 납부하면, 수령액이 확실히 늘어납니다.

💡 지금 당신 상황, 가입해도 될까?

 

현재 나이 50세 ✔️ 가입 가능
가입이력 20년 완료 ✔️ 수급 자격 확보
현재 납부 여부 없음 ✔️ 임의가입으로 연장 가능
 

결론: 60세까지 10년을 더 넣으면, 수령액이 크게 늘어납니다.


📈 임의가입 시 장점

  • 연금 수령액 증가: 10년 더 넣으면 연금이 평균 30~40%까지 증가 (전 최소금액으로 신청 했어요. 월 수입 100만 원으로 잡고 최소금액 9만 원입니다. 수입이 없어도 최소는 맞춰야 한데요) 
  • 소득공제 혜택: 연말정산 시 연금보험료 전액 소득공제 가능
  • **추가 납입(추납)**도 가능: 과거 미납기간이 있다면 그 부분도 메울 수 있어요

⚠️ 임의가입 시 유의할 점

  • 60세까지 꾸준히 납부해야 실익이 있어요
  • 월 납부액은 기준소득월액의 9% (예: 월 200만 원 기준 → 약 18만 원)
  • 도중 탈퇴 불가: 1~2년만 넣고 그만둘 생각이면 비추천입니다

🧾 가입 방법

  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 또는 가까운 지사 방문
  2.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후 ‘임의가입 신청’ (당일 중으로 담당자에게 전화오니, 잘 받으세요) 
  3. 원하는 기준소득 선택 후 자동이체 등록
  4. 신청 후 매달 10일 전후 자동 납부 시작

💬 이런 분이라면 꼭 추천드려요

  • 60세 이후 연금만으로 노후를 준비하려는 분
  • 현재 소득은 없지만, 생활비 여유는 있는 분
  • 과거 미납 기간이 있어 연금액이 아쉬운 분

🚫 이런 분은 신중히 고려하세요

  • 향후 소득이 불안정해서 꾸준히 납입하기 어려운 분
  • 조기연금 수령을 고려하고 있는 분 (조기 수령은 최대 30% 감액)

🎁 추가 꿀팁

  • 과거 미납 기간이 있다면 ‘추납 신청’도 함께!
    → 이중으로 연금 수령액을 늘릴 수 있어요
  • 기준소득 월액은 조정 가능
    → 매년 소득 변동에 따라 부담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결론

국민연금은 ‘얼마나 오래, 얼마나 많이 납부했는가’에 따라 연금 수령액이 결정됩니다.
이미 20년을 채우셨다면 수급 조건은 충분하지만, 앞으로 10년을 더 납입하면 수령액이 확연히 달라져요.

지금은 연금 자산을 키우는 ‘두 번째 기회’입니다.

가입을 미루지 마세요.
여러분의 노후는 지금 준비하는 만큼 더 단단해집니다.

 

2025.07.09 - [정보] - ⚡️ 2025년 에너지바우처 환급받는 꿀팁! ‘내가 얼마나 받을까?’

 

⚡️ 2025년 에너지바우처 환급받는 꿀팁! ‘내가 얼마나 받을까?’

에너지바우처: 에너지바우처는 저소득층,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한 냉·난방비 지원 제도입니다. 미사용 금액은 환급도 가능하니 꼭 확인하세요! 🔎 1. 에너지바우처란 무엇인가요?에너지바우처

madaminforest.com

 

반응형